navigation contents

투니버스와 애니메이션 OST

김희은2025.02.25

1. 들어가며

 어렸을 적 텔레비전 앞에 옹기종기 모여앉아 화면 속 유려한 세계에 빠져 들어본 추억은, 비단 특정한 개인만의 것은 아니다. 애니메이션은 우리의 삶과 꽤나 친밀하게 닿아있다. 어릴 적 뽀로로 같은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보면 흘리던 눈물을 뚝 그치기도 하고,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포켓몬의 딱지라던가 카드를 사 모으며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을 따라하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우리는 특히, 애니메이션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던 노래들을 흥얼거리곤 했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조금 이상하다고 느껴지지 않는가? 어릴 적에야 몰랐다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우리가 어릴 적 보았던 대부분의 애니메이션들은 일본에서 들여와 상영된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어릴 적 들었던 애니메이션의 OST들은 거의 다 한국어로 되어 있었다. 이는 어째서일까? 우리가 외국어로 된 대사들을 한국 성우들이 더빙한 한국어로 듣는 것처럼, 노래도 똑같은 노래를 가사만 바꿔서 불렀던 것일까? 아니면 아예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넣었던 것일까?

 

투니버스는 우리나라 최초의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로, 1995211일 개국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름은 카툰(cartoon)의 툰(toon)과 유니버스(universe)의 이버스(iverse)를 합성하여 지어졌으며, 이름에 걸맞게 수많은 애니메이션들을 방영하며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런 투니버스의 영향력은 유명 방영작의 캐릭터들이 아직까지도 사랑받는 등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이러한 투니버스가 적극적으로 시도했던 시도 중 하나인 OST 번안 및 제작, 이에 대해 알아보며 우리의 어릴 적 추억을 되살려보도록 하자.

 

 

 

2. 투니버스의 OST

 투니버스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주제가를 한국어로 번안하거나, 아예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현지화 시도를 많이 해왔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 투니버스는 음악 감독이나 작곡가 등의 제작 스탭진 인재풀을 바탕으로 애니송 전문 가수 뿐만 아닌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을 만한 인디 밴드나 유명 아이돌, 가수 등을 섭외하곤 했고, 제작된 주제가를 모아 <WE>라고 하는 투니버스 애니메이션 주제곡 음반을 3집까지 발매하기도 했다.

 

이러한 투니버스 OST에 참여한 유명인을 일부 꼽아보자면 인디밴드 10cm의 보컬 권정열, 유명 락밴드 중 하나인 버즈, 유명 아이돌로 손꼽히는 IU, 카라, 오마이걸, 러블리즈, 그리고 락밴드 YB의 보컬 윤도현 등이 있으며, SM엔터테인먼트의 유명 작곡가인 KENZIE(켄지) 또한 투니버스의 OST를 부른 적이 있다. 애니송을 주로 부르던 가수을 기용하는 것에서 유명인을 기용하는 것으로 변화한 투니버스의 이 전략은 팬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으나, 필자 개인은 본래 애니메이션을 소비하지 않던 대중 층에게 어필하고, 애니메이션이라는 서브컬쳐를 대중들이 조금 더 친숙하게 받아들이게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렇듯 투니버스에서 그간 방영해 온 수많은 애니메이션과 유명한 노래들은 셀 수 없이 많지만, 우선 이 글에선 총 6개의 OST를 골라 소개하고자 한다. 곡의 선정 기준은 우선 자체 제작 곡과 번안곡을 나눈 후, 한국의 유명 가수가 부른 OST, 투니버스의 성우가 부른 OST, 그 외에 많은 사람들이 아는 유명곡 이렇게 각각 1곡씩이다. (선정 기준에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음에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림 1, 앨범 <투니버스 만화영화 주제가 BEST WE>

 

2-1. 원곡 번안 OST

먼저 일본 애니메이션의 OST를 원곡으로 하여 가사를 한국어로 번안해 방영된 OST 3곡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 2, 애니메이션 <꿈빛 파티시엘> 1기 포스터(), 아이유의 <꿈빛 파티시엘> 홍보 영상()

 

가장 먼저 소개할 것은 마츠모토 나츠미(松本夏実) 순정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 <꿈빛 파티시엘>(원제:夢色パティシエール)OP, <내 꿈은 파티시엘>(원제:にエール!パティシエール)이다.

 

투니버스는 이 번안곡을 부를 가수로 아이유를 섭외해 화제를 모았다. 이 곡은 종종 아이유의 콘서트 라이브로 불러지거나, 2021년 유행했던 꿈빛 파티시엘 챌린지에 쓰이기도 하고, 현재까지도 커버 영상이 업로드 되는 등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https://youtu.be/G0Il1Qz7giw?si=bpoJZSiqV4zT0zR2 (번안곡) 

https://youtu.be/icLALGU4e3M?si=Dj64sJtbIAjNWdZy (원곡)


그 다음으로 소개할 것은 일본의 캐릭터 프랜차이즈 기업 중 하나인 반다이(株式会社バンダイ)에서 기획 및 제작한 디지털 몬스터 미디어믹스 시리즈, 그 중 하나인 애니메이션 <디지몬 어드벤쳐>(원제:デジモンアドベンチャー)OP, <Butter-Fly>이다. 번안곡의 가수는 전영호이다. 이 노래는 디지몬 시리즈라고 하면 바로 떠올릴 수 있을만큼 팬들에게 유명한 곡으로, 2020년 이 노래의 한국어판 정식 음원 발매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이 열리자 125000만원이 모였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림 3, 애니메이션 <디지몬 어드벤처> 포스터

 

https://youtu.be/ydBShDcDI_g (번안곡) 

https://youtu.be/ekZaca79Fwo?si=MGaVRWt3Fdxft8rj (원곡) 

 

그 다음 소개할 노래는 타네무라 아리나(種村有菜) 순정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 <달빛천사>(원제:満月して)의 삽입곡이자 ED<Love chronicle>이다. 가수는 달빛천사 더빙판의 주인공 캐릭터 성우를 맡은 이용신이다. 달빛천사는 주인공이 가수인 특성상 작 중 많은 노래들이 등장하는데, 이 노래는 그 중에서도 애니메이션의 하이라이트에 등장하는 중요한 노래이다. 또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달빛천사 OST 한국어 리메이크판 앨범을 발매하는 등 아직까지 많은 사랑을 받는 노래이기도 하다.

 

 

 

그림 4, 애니메이션 <달빛천사> 포스터

 

https://youtu.be/4EH4-OS5LGw?si=LeMFt7od5SoBmsNZ (번안곡) 

https://youtu.be/_kuACLaWhGo (원곡) 

 

2-2. 투니버스 자체 제작 OST

 그 다음은 투니버스 자체 제작 OST이다. 투니버스는 본래 일본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의 OST의 개사곡만을 제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예 노래를 새로 작사작곡하여 자체 제작 OST를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자체 제작 OST 3곡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번째로 소개할 곡은 키시모토 마사시(岸本斉史) 소년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 <나루토>(원제:ナルト)의 가장 첫 번째 OP 활주이다. 일본에서 방영된 것과 완전히 다른 노래이므로, 원곡란에는 마찬가지로 일본 방영 버전 나루토의 가장 첫번째 OP<ROCKS>를 기재한다. 이 활주의 가수는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한국의 유명 밴드 그룹인 버즈, 현재 노래방에도 수록되어 있는 등 예나 지금이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림 5, 애니메이션 <나루토> 포스터

 

https://youtu.be/_9tiXgvFdy8?si=ZhxET3KE859o2Chm (자체 제작 곡) 

https://youtu.be/hF93UyTJ8p4 (원곡) 


그 다음은 앞서 번안곡 소개 중 나왔던 애니메이선 <달빛천사> 의 투니버스 자체 제작 OP <나의 마음을 담아>이다. 원곡란에는 일본 방영 버전 달빛천사의 OP <IU>, <ROCK'N ROLL PRINCESS>를 기재한다. 달빛천사의 다른 삽입곡들은 대부분 번안곡으로 이루어졌으나 이 OP는 자체 제작 곡으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당시 더빙 연출을 총괄하던 신동식 PD가 본래의 OP이 애니메이션의 내용과 동떨어졌다고 여겨 새로 제작한 것이다. 이 노래 또한 달빛천사의 인기에 힘입어 큰 사랑을 받았다.

 

https://youtu.be/LY8SyIKtKgU?si=tc2teeUE_lLFy1st (자체 제작 곡) 

https://youtu.be/vgTFSukp4Vk, https://youtu.be/4YFkam4bA8o (원곡) 

 

마지막으로는 유데타마고(ゆでたまご) 소년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 <쾌걸 근육맨 2>(원제:キンマンII)OP<질풍가도>이다. 원작란에는 일본 방영 OP<HUSTLE MUSCLE>을 기재한다. 가수 유정석이 부른 이 자체 제작 오프닝곡은 가히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애니메이션 송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특유의 신나는 밴드 사운드와 열정이 넘치는 희망찬 가사로 스포츠 및 대학 응원가로 널리 쓰였다. 아마 이 노래가 애니메이션 주제가임을 모르는 사람은 있더라도 이 노래 자체를 모르는 사람은 그다지 없을 것이다.

 


그림 6, 애니메이션 <쾌걸 근육맨 2> 포스터

 

https://youtu.be/No0YMy5nXeA (자체 제작 곡) 

https://youtu.be/DOu4qAybzMY (원곡) 

 

2-3. 투니버스는 왜 이런 길을 갔을까?

 그런데 이렇게 노래들을 듣다보면 궁금해지는 것이 있다. 투니버스는 왜 일본에서 방영된 원곡을 그대로 들여오지 않고 굳이 이런 방식을 취했을까? 그냥 들여오는 것이 단가적으로도 더욱 값이 저렴했을 것이고, 괜히 새로운 곡을 만들어내는 수고도 덜게 되지 않을까?

그 이유에는 여러가지 요인을 들 수 있다. 그 중 우리는 시대적 배경에 따른 국내 반일감정과 일본 대중문화 수입 제한 정책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에 따른 반일 감정을 광복 이후 꾸준히 가져왔으며, 1965년 이전에는 일본과 비수교국으로 아예 대중문화 접촉이 금지되어 있었다.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일본 대중문화를 금지하는 명시적 법령은 사라졌으나, 여러가지 정치적 및 정책적인 사유로 일본 대중문화의 수입 및 유통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연유로 일본에서 들여오는 애니메이션들은 철저히 현지화가 이루어져야 했으며, 이러한 성향은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이루어진 뒤에도 이어졌다. 그렇기에 1995년 개국해 시대를 살아온 투니버스는 여러 애니메이션 OST들을 번안하거나 자체 제작할 수 밖엔 없었던 것이다. 또한 2004년 일본문화 완전 개방이 이루어졌을 때, 관련하여 일본 음악 쪽의 저작권이나 판권 관리가 복잡해지자 그로 인하여 창작곡을 만드는 경우도 늘어났다.

이러한 현지화를 통해 투니버스는 일본이라는 벽을 없애고 대중에게 익숙하게 다가가 한국의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송출 채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으며, 투니버스하면 음악이라는 일종의 브랜드 이미지를 생산해냈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고, 김대중 대통령에 따른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의 영향이 점차 나타나며 대중들이 점차 일본 문화에 익숙해지기 시작했고,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측의 저작권 문제 등으로 주제가나 삽입곡의 번안 불허가 잦아지면서, 애니메이션 음악 로컬라이징은 점점 사그라들었다.

그러나 투니버스는 비록 일본 애니메이션의 OST가 아니더라도 국내 히트 애니메이션인 신비 아파트 시리즈의 자체 제작 OST를 만들어가는 등, 아직까지 투니버스 음악 브랜드의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3. 마치며

 어릴 적을 생각해보면, 투니버스에는 참 많은 신세를 졌다. 애니메이션의 주제가를 따라부르고 움직이는 캐릭터를 따라 그렸던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어릴 적의 추억은 커서도 여전해서, 성인이 된 지금도 노래방에서 투니버스에서 만든 주제가를 신나게 부르는 어른이 되어버렸다.

시대가 바뀌며 무언가는 쇠퇴하고 무언가는 변화하는 것이 당연하다. 어릴 적 방송은 텔레비전으로 보는 것이 당연했는데 이제는 핸드폰이 익숙하다. 더 먼 미래에는 또 다른 변화가 생길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렇듯 시대에 발맞춰 투니버스도 많이 변했다. 하지만 이렇게 변화하며 사라진 것들이 있어도 사람들의 기억에 남은 것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항상, 투니버스가 만들어낸 노래들을 들을 때마다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된다. 이렇듯 어릴 적 투니버스를 보며 자란 세대들은 그 시절을 추억하며 투니버스에게 묘한 향수를 느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누군가는 투니버스를 다시 찾아가게 될 것이다.

앞으로 많은 것이 변하더라도 향수와 애상만큼은 여전하다. 어린아이의, 또는 또 다른 나잇대의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꿈을 주는, 누군가의 추억을 만들어주는 애니메이션 채널 '투니버스'가 오래오래 지속되기를 기원하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 자료

위키백과, 투니버스,https://ko.wikipedia.org/wiki/%ED%88%AC%EB%8B%88%EB%B2%84%EC%8A%A42024.2.8.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국가기록포털), 일본대중문화개방

 

 

위로